FIFA 클럽 월드컵, 울산 경기 흥행 참패

본문
아시아 대표로 참가한 K리그 챔피언 울산 현대와 남아공의 마멜로디 선다운스가 맞붙은 조별리그 경기에서는, 경기 시작 10분 전까지 단 557명만이 입장한 것으로 보도돼 충격을 주고 있다.
영국 오즈포탈은 18일 새벽 "FIFA의 새로운 클럽 월드컵이 또 한 번 관중 수치로 굴욕을 당했다"며 울산과 마멜로디의 경기가 열린 미국 올랜도의 인터&코 스타디움(2만5,500석 규모)에 단 97명만이 입장해 있었다고 전했다.
이후 킥오프 직전까지 관중 수는 557명 수준으로 늘었으며, 공식 집계로는 총 3,412명이 입장한 것으로 발표됐다. 그러나 실제 체감은 '텅 빈 경기장'이었다는 것이 현지 중계 및 관중들의 반응이다.
FIFA는 이 대회가 전 세계 클럽 축구의 '정점'이 될 것이라며 막대한 투자와 함께 대회 포맷을 확장했지만, 현실은 전혀 딴판이다. 앞서 첼시와 LAFC의 경기도 애틀랜타의 메르세데스 벤츠 스타디움(7만5천석 규모)에서 열렸으나, 당시 입장 관중은 2만2천 명에 불과해 상단 관중석 전체를 폐쇄하는 조치까지 이뤄졌다.
FIFA는 학생 할인과 지역 할인 등으로 가격을 대폭 낮추며 티켓 소진을 유도하고 있다. 울산과 마멜로디의 경기는 심지어 20달러(약 2만7천 원)에도 티켓을 구매할 수 있었지만, 팬들의 외면은 막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도 FIFA는 낙관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FIFA는 "개막 8경기 동안 34만 명 이상이 경기장을 찾았다"며 "가장 많은 판매가 예상되는 그룹 경기 5경기 중 4경기가 아직 열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전 세계 130개국 이상의 팬들이 티켓을 구매했으며, 미국·브라질·아르헨티나·일본 등 다양한 시장에서 흥행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대회 총 상금은 7억7,500만 파운드(약 1조4천억 원)에 달하며, 유럽 팀들은 참가만으로도 2,000만 파운드(약 369억 원)를 확보할 수 있다. 조별리그 승리 시 150만 파운드(약 28억 원), 무승부는 80만 파운드가 지급되며, 16강 진출 시 보너스로 600만 파운드(약 105억 원)가 추가된다.
FIFA는 이번 클럽 월드컵을 통해 '글로벌 클럽 축구의 정점'이라는 새로운 브랜드 가치를 만들고자 했지만, 적어도 개막 초반은 흥행·공감·관중 모두 혹평으로 쏟아지고 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