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후 만루서 번트로 거센 비판 이어져 > 기타 스포츠

본문 바로가기

기타 스포츠

TOP
DOWN

이정후 만루서 번트로 거센 비판 이어져

본문

03712584844c3bf21fabf698d2fabeff_1753662029_0968.jpg
 

만루 타석에서 이정후(27·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병살 타구를 먼저 생각했다. 이틀 연속 멀티히트를 때리고 오라클파크의 높디높은 우측 담장을 넘길 뻔한 대형 타구를 날렸지만 현지 매체는 1억 1300만 달러(1564억원) 스타의 자신감 없는 플레이에 더 주목했다. 그리고는 거센 비판을 가했다.


이정후는 27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오라클 파크에서 펼쳐진 뉴욕 메츠와 2025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홈경기에 7번 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3안타 1타점 활약을 펼쳤다.


팀 타선이 9개의 안타를 때려내고도 단 1득점에 그치며 1-2로 뼈아픈 패배를 당했기 때문이다. 2연패에 빠진 샌프란시스코는 내셔널리그 서부지구에서 선두에 7경기 뒤진 3위, 와일드카드 경쟁에서도 2경기 처진 5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정후의 번트 장면은 보지못할 장면이었다. 양 팀이 0-0으로 맞선 4회말 1사 만루 기회에서 이정후가 타석에 나섰다. 앞서 2회 첫 타석에서 좌완 데이비드 피터슨을 상대로 간결한 타격으로 안타를 만들어냈지만 초구부터 누구도 예상치 못한 시도를 했다. 기습 번트를 통해 점수를 짜내는 선택을 한 것. 허를 찌르는 전략이었지만 결과는 파울이었다. 결국 이정후는 자세를 고쳐 타격에 나섰고 2루수 방면으로 타구를 보내며 병살타를 피하고 선취 타점을 올렸다.


이정후는 "땅볼을 치면 병살이 될 수도 있지 않나"라며 "그래서 갑자기 번트를 한 번 해볼까 생각했다. 1루수 알론소가 뒤로 물러나 있었고 그래서 기회가 있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는데 결국 파울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정후의 설명만 들으면 어느 정도 고개가 끄덕여지기도 하지만 디애슬레틱은 통계적 수치를 통해 이에 대해 반박했다. 하나는 상대가 좌투수였지만 이정후는 통상 좌타자가 좌투수를 상대로 약세를 보이는 것과 달리 역스플릿(reverse split) 기록을 써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정후는 올 시즌 좌투수를 상대로 타율 0.276, OPS(출루율+장타율) 0.783을 기록, 우투수 상대 0.239, 0.685에 비해 더 뛰어난 생산력을 보였다.


가장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최고의 찬스에서, 그 가능성을 일부러 줄이는 행동을 택한 것이며 MLB 타자들이 거의 하지 않는 선택을 했다.


얼마나 드문 일인지 27일 이전까지 올 시즌 만루 상황에서 9945개의 투구가 있었는데 그 중 번트 시도는 단 두 번뿐이었다. 그만큼 만루에서 번트를 대는 것은 전략적으로 거의 의미 없는 선택이다. 투수 앞에서 멈추면 홈에서 포스 아웃이 될 수 있다. 어떤 각도에서 보더라도 만루 상황 번트는 매우 끔찍한 플레이다.


범위를 넓혀 2022년부터 올 시즌까지 4년 동안 총 5만 7675개의 만루 상황 투구 중에서도 번트 시도는 27번 뿐이었다고 지적했다. 늘 실패로 이어졌던 건 아니었다. 이 중 13차례 인플레이가 이뤄졌는데 번트 안타도 4차례 나왔지만 5번은 타점, 두 번은 수비 실책으로 인한 다득점으로 이어졌다.


현지 중계방송에서도 이정후가 번트를 실패한 뒤 올 시즌 구단별 만루 홈런 데이터를 자막으로 띄웠다. 공교롭게도 디애슬레틱과 마찬가지로 팀에 필요한 건 장타라는 걸 강조하는 듯한 느낌을 줬다.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071 건 - 1 페이지
게시판 전체검색